천주교 썸네일형 리스트형 예수님이 살던 시절의 우유와 치즈 히브리어 할라브는 우리가 알고 있는 우유를 뜻합니다. 날씨가 더우면 이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습니다. 이유기 전 아기들에게 가장 적당한 음식이라고 한 말은 모유를 뜻한 것 같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버터는 오늘날 우리가 먹는 것보다 기름기가 더 많으며 부드럽게 응고된 것을 가리킵니다. 중세 유다 학자 라쉬는 엉긴 소젖은 오늘날 크림 버터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이라고 합니다. 1사무 17,18과 2사무 17,29 그리고 욥기 10,10에 나오는 치즈는 틀에 집어넣고 눌러 햇볕에 말린 것입니다. 이를 베두인들은 아피그라고 하는데, 이들은 오늘날에도 거의 같은 방법으로 만듭니다. 아피그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고, 언제든지 물을 부어 다시 만들 수 있습니다. 옛 예루살렘이나 아크레 시장에서 이러한 치.. 더보기 이스라엘 고기 식단에는 어떤 것이 있었나? 여유가 없으면 먹지 마라 시편 50,10에서 숲 속의 모든 동물이며 수천 산들의 짐승이 내것이기 때문이라고 묘사했듯이 성경 시대에도 소를 방목했습니다. 아브라함과 욥의 부는 소의 숫자로 가늠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농사를 짓게 되자 동물을 방목할 공간이 줄어들었습니다. 실제로 라삐들은 광야 이외 지역에서 가축을 방목하는 것을 금했습니다. 실제로 라삐들은 광야 이외 지역에서 가축을 방목하는 것을 금했습니다. 염소는 주변 환경을 황폐하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기가 드물고 비쌌습니다. 예수 시대 바로 후대에 살았던 라삐 엘레아잘 벤 아자리야는 어느 정도 수입이 있는 사람들은 매일 고기를 사지만 그보다 못한 이들은 국을 끓일 만큼만 사고, 그보다 더 적게 버는 이들은 채소나 물고기를 먹으라고 했습니다. .. 더보기 성 베드로의 물고기와 좋은 고깃덩이 옛 유다 현인은 온몸이 건강하려면 작은 물고기 열 마리를 꾸준히 먹어라고 했습니다. 갈릴래아 호수에서 잡히는 18가지 물고기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성 베드로의 물고기입니다. 베드로는 물고기 입에서 예수와 자신이 낼 성전세 한 세켈을 꺼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즐겨 먹는 틸리피아는 플랑크톤만 먹으며 그물로만 잡을 수 있습니다. 베드로가 갈릴래아에서 낚시로 잡은 물고기는 돌 잉어로, 호수 밑에서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고 삽니다. 오늘날 순례자들이 즐겨 찾는 틸리피아는 세기를 지나오면서 마태오복음서에 나오는 물고기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로마인들은 수정된 물고기 알을 받아 비바리아 연못에서 부화시킨 다음 치어가 되면 양어장에 내다 팔았습니다. 이런 양어장이 지금까지도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생선요리 다양한 생선.. 더보기 물고기와 해산물 - 물고기 두 마리 어부 출신 제자들은 자기들의 직업이 이스라엘 열두 부족이 이스라엘에 도착한 때부터 있어온 직업이란 것에 자부심을 가졌습니다. 즈불룬 부족은 카르멜 산 근처 지중해 연안에 이르는 땅을 상속받았고, 그의 형 납탈리는 갈릴래야 호수 일대에 자리 잡았기에 고기잡이 기술은 이 둘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고기잡이 솜씨가 좋았는데도 여전히 물고기는 성지 밖에서 사들였습니다. 느헤미야는 페니키아인들이 안식일에 티로 항구에서 가져와 성지 시장에서 파는 물고기를 산다고 예루살렘 사람들을 꾸짖었습니다. 예루살렘에는 물고기 시장에 가까운 물고기 문이라고 하는 성문이 있습니다 기원후 2세기경 물고기 수입의 주요 거점인 지중해 연안의 아크레 항구를 잘 알고 있던 라삐들은 모세가 지팡이를 뱀으로 변하게 한 이야기를 재구성하면서 .. 더보기 콩에 대한 탈무드의 전설 여러 종류의 콩 구약시대나 예수 시대의 콩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렌즈콩입니다. 이 콩은 밀 다음으로 중요한 먹을거리였습니다. 미슈나에서 보듯이 부인과 사이가 멀어진 남편이라도 매주일 부인에게 콩을 대주어야 했습니다. 기름과 말린 무화과, 밀가루 1900킬로그램과 렌즈콩 540킬로그램은 꼭 필요한 기본 식량이었습니다. 스무 종류가 넘는 채소 가운데 렌즈콩과 이집트을 주로 먹었습니다. 렌즈콩은 흰색과 자주색 줄무늬 꽃이 피는 1년 초의 콩 꼬투리 속에 들어 있습니다. 이 콩은 날로 먹거나 말려서 저장했는데, 고대 부엌살림에서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식품이었습니다. 시리아와 이집트에서는 아주 흔했으며, 성경에 나오는 에돔이라는 지명도 이 지방에서 잘 자라는 붉은 렌즈콩에서 유래했습니다. 렌즈콩에 대한 .. 더보기 이스라엘 시대의 식물 - 기타 푸성귀들 기타 푸성귀들 푸성귀 가운데 루카 11,42에는 박하와 운향과 모든 채소가 나옵니다. 사탕무도 식단에 있었습니다. 사탕무는 가난한 이들의 음식이었지만 고기 요리에 넣으면 맛이 한결 좋아졌습니다. 고기 맛을 내는 데는 중세기 때 십자군이 유럽으로 들여온 파를 따를 것이 없습니다. 고대 필리스티아 도시 아스클론 근처에서 잘 자라 '에스켈리온'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여기에서 스켈리온이 파생되었습니다. 유다인들이 마늘을 애호하는 것에 대해 로마인들으 여러 책에서 마늘을 먹는 민족이라고 기록했습니다. 탈무드는 일상 식품인 마늘을 넣은 여러 요리에 대해 말하며 최음제로 추천하기도 했습니다. 여호 15,38에는 유다 서쪽 산 아래 작은 언덕에 있는 딜안이라는 성읍이 나옵니다. 언어학자들은 이 말의 어원이 호리병박을 .. 더보기 온갖 푸른 풀을 양식으로- 푸성귀 세세대대로 예술과 문학은 지상낙원을 모자라는 것이 없으며 모든 것이 풍부하고 평화가 넘쳐흐르는 곳으로 묘사하지만 채소는 최고 품목에 속하지 않았습니다. 채소를 가장 천한 식품으로 홀대한 것은 후대 자료인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잘 나타납니다. "한 남자가 어떤 사람 집에 묵게 되면 첫째 날에는 닭을, 둘째 날에는 생선을, 셋째 날에는 고기를, 넷째 날엔 콩을 그리고 그 다음부터 푸성귀를 대접받게 될 것입니다.(오늘날과는 달리 예수 시대에는 닭이 귀했습니다. 닭고기는 4세기까지 고기보다 고급으로 쳤습니다.) 다니 1,8-15에도 등장하는 오이와 수박과 부추와 파와 마늘 같은 채소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떠나온 후 그리워하던 품목 가운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다니엘과 그 친구들은 채소만 먹고도 엄선된.. 더보기 참양각초와 금단의 열매 참약각초 샐러드에 맛을 내기 위해 단지에서 짭짤하고 감칠맛 나는 액체를 한 숟갈 떠서 집어넣는데, 이것은 갈릴래야에서 요르단 광야와 네겝에 이르기까지 돌이 많은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로 만든 것입니다. 꽃봉오리를 소금이나 식초에 담가 사용하면 고급 상품이 됩니다. 참양각초는 전문가가 재배했으며, 꽃봉오리는 싱싱할 때 적당한 시기에 정확히 따야 했습니다. 골란 고원에 살던 라삐 엘아자르는 참양각초 전문가였는데, 그의 옛 연구소 유적에서 참양각초 재배법을 기록한 명각이 발견되었습니다. 덜 여문 참양각초 열매는 소금에 절여 먹었습니다. 참양각초는 바위 틈에서 강인하게 자라기 때문에 탈무드 베잇차에 언급한 것처럼 유다인의 생존 의지를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영어 번역본은 코헬 12,5를 오역함으로써 참양각..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